尹대통령 한반도 정세 위기로 "중-러"와 외교 갈등 발언
[로스앤젤레스=레이아. 쥰 기자] 윤 대통령은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러시아의 침공을 받고 있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적 지원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러시아의 강한 반발을 사는가 하면, 중국 당국이 자국의 핵심이익으로 간주하는 중국과 대만 갈등 상황을 직접적으로 언급, 두 나라 모두로부터 거센 비판을 받고 있다.
먼저, 러시아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의 이번 인터뷰 내용과 관련해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은 전쟁 개입"이라며 불만을 터뜨렸다. 또한 중국 외교부는 대만 문제에 관한 "타인의 말참견을 허용하지 않겠다"고 윤 대통령을 직접 겨냥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윤 대통령의 이러한 발언이 오는 26일 조 바이든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과의 밀착외교에서 이뤄졌다는 점에서 우크라이나나 대만 관련 발언 역시 "즉흥적이라기보단 준비된 발언이었을 것"이란 데 무게를 두고 있다.
일단 한국 정부는 지난해 5월 윤 대통령 취임 이후 '한미동맹 강화·발전'을 최우선 외교정책 과제로 삼아 미국관의 접촉면을 확대하는 데 주력해왔다. 이 때문에 중국과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소원해졌다는 게 일반적인 평가다. 더욱이, 한국과 러시아 간의 관계 역시 작년 2월 우크라이나 전쟁 개전 이후 한국이 미국 등 서방국가들의 대 러시아 경제·금융제재에 동참하면서 대면해진데 이어, 아예 미국에 바짝 붙은 친미 행보를 노골적으로 드러내면서 러시아와도 관계 악화일로로 향하고 있다. 결국, 중국과 러시아 양국이 한국과 직접적인 외교 갈등을 겪는다면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협조를 구하기는 더욱 더 어려워질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평이다.
이미, 중국과 러시아 양국은 작년 이후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등 각종 도발에 따른 대응 차원에서 미국 등이 유엔안전보장이사회 회의를 소집할 때마다 북한의 도발에 대한 '미국 책임론'과 '제재 무용론'을 제기하며 안보리 차원의 공동 대옹 논의에 제동을 걸어왔다. 윤석열 정부 이전까지는 중국과 러시아 뿐만 아니라, 미국까지 강대국 그 어느쪽에 바짝 붙은 행보를 해오지 않았지만, 미국만을 바라보는 해바라기 정책으로 중국과 러시아와의 관계 악화로 치닫고 있는 윤석열 정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반도 평화 문제에서 러시아와 중국의 역할을 무시하면 안 된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